본문 바로가기

BOOK-사색의시간

[인문/철학] Flow - 칙센트 미하이 (Mihaly Csikszentmihalyi)

 ㅇ Flow (부제: 몰입,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)
 ㅇ 저자 : 칙센트 미하이 (Mihaly Csikszentmihalyi)
 ㅇ 번역 : 최인수
 ㅇ 출판사 : 한울림 / 2004.7월 / 544p

  "몰입하라, 행복할지니.."

자기가 원하는 '뭔가'를  할 때 시간의 흐름조차 잊을 정도로 몰입했던 기억.
누구나 한번쯤 있을 것이다. 바로 그 행복한 몰입의 순간을 최적경험(optimal experience), 곧 'flow'라한다. 비단 찰라의 순간이 아니라, '어떻게 하면 인생 전반에 걸친 생애가 flow로 가득찰 수 있을까.' 이것이 저자가 평생 연구한 과제. 그리고 이 책이 바로 그 결과물이다.
음.. 역시.. 넘 기대를 했던 탓일까. 기대했던 것 보다는 덜 구체적이다.
그렇지만 행복이란 결코 우연히 찾아오는 것이 아니며, 순간 순간 자신의 정신에너지를 쏟아 자신이 설정한 길을 자신의 룰 대로 가는 사람만이(일명 자기목적적 자아를 이룬 사람만이) 누릴 수 있는 것임을 다시금 확인하게 되었고 내가 지금 휘둘리고 있는 것도 어쩌면 내 안의 자아가 아니라 외부의 잣대,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는 '서툰 자의식'의 문제일지도 모르겠구나 라는 생각을 해본다.
불혹이 되기전엔 '자기목적적 자아'를 꼿꼿하진 않더라도 서툴게나마 세워 봐야지... 하는 생각과 바람을 갖는다.
* *
flow란 무엇인가? 다른 어떤 일에도 관심이 없을 정도로 지금 하고 있는 일에 푹 빠져있는 상태. 이때의 경험이 너무 즐겁기 때문에 어지간한 고생도 감내하면서 이 행위를 하게 된다.
음악, 미술, 글쓰기 등의 예술적 영역과 스포츠, 꽃꽂이, 요리 등 창작의 영역에서 경험하기가 쉬운 것으로 flow를 이루기 위한 3요소 - 주어진 도전을 잘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고, 목표가 명확하고, 분명한 규칙과 즉각적인 피드백이 있는 상태 - 가 잘 갖춰진 영역이기 때문이다.
디지털보헤미안에서도 느꼈던 것 처럼 이 영역을 직업으로 갖고 있는 사람들이 인생을 좀 더 즐겁게 영위할 수 있는 조건에 있구나.. 싶다.
그러나 단조로운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flow를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. 저자는 flow란 자기의 업무활동을 통해 느낄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체적 또는 감각적인 기술을 발전시키거나, 시/철학 등 상징을 다루는 기술을 발달 시키거나, 가족/배우자/자식/친구와의 관계를 통해서도 누릴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내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의 의식을 통제할 수 있을 때 더욱 자유롭고 견고해지는 것이라 말한다.
동서양을 막론하고 결국엔 '너 자신을 알라'가 인생에서 중요한 방향계임에 틀림없는 모양이다.
왠지 장자..를 함 읽어 봐야 할 것 같다.

* * 본문 중 스크랩
- 플로우 활동의 핵심은 '자아의 성장'에 있다.
- 우리가 가능한 한 자주 플로우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의식을 조절하면 삶의 질은 저절로 향상되게 마련이다.
-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가 지금보다 더 중요하다는 당연한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다.
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좋은 습관을 어려서부터 익히면 어른이 되어서 잘 살 수 있을것이라고, 학교 선생도 공부가 지금은 재미없게 느껴지더라도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는 꼭 해야만 하는 것이라고, 회사의 간부들은 신입에게 열심히 하면 남보다 빠르게 진급 할 수 있을 것이라...(중략).. 에머슨이 말한 것처럼 "살아가려고 바동대기는 하지만, 정말 삶을 살고 있는 것일까"
- 정말 중요한 것은 사회가 제공한 보상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, 이를 위해서 어떻게 사회적 보상들을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보상으로 대체하는가를 배우는 것. 자신을 사회적통제로부터 해방시키는 방법, 순간순간에 주어지는 보상을 발견하는 능력. 보상을 자기 내면에서 찾는 것.
- "어떻게 우리가 스스로 내 인생의 주인이 될 수 있을까?" 우리의 의식을 통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.
- 자기 목적적 자아는 글자 그대로 '스스로 만들어 낸 목적을 가지고 있는 자아'를 의미한다.
대부분 사람들의 목표는 생물학적 욕구와 사회적 통념에 의해 형성되어지므로 자기자아에서 발현된 목표들이 아니다.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