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5/1_21_1_33_blog31580_attach_0_0.jpg?original)
작년 12월엔가.. KT WIBRO 단말 무료에다가 3개월 무료 체험 프로모션을 하길래 냉큼 주문을 했다.
내가 주문한 건 삼성에서 나온 HK-200이라는 모델인데, SD 메모리를 외장메모리로 확장할 수 있어 단일 와이브로만 지원되는 모델인 U-1000 보다 꽤 좋은 것 같다.
그런데 Wibro를 이용하고 있을 때는 외장 메모리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는게 좀 아쉽다.
우측에 보이는건 SKT의 HSDPA 단말인 T-LOGIN. 초창기 모델이라 좀 투박하긴하다.
SKT의 T-LOGIN은 1기가에 월정액 29,900원.
왼쪽의 KT Wibro는 무제한에 월정액 19,800원.
(근데 거의 사무실과 집의 유선을 쓰는 회사원이다보니, 한달에 100M도 채 쓰기 바쁘다)
다만 와이브로는 아직 서울/경기권이라는 지역 제한이 있고 (서울도 아직 음영지역이 꽤 되는 듯),
이동시 속도 한계도 HSDPA가 우세하다.
전송 속도에 있어서는 upload/download 모두 Wibro가 이론상으로 앞서고, 써보니 실제 체감도 그런 것 같다.
(Wibro : 다운로드: 3Mbps, 업로드 1.2Mbps / HSDPA : 다운로드 1.0Mbps, 업로드 0.3Mbps)
그렇지만 600M가 넘는 영화 다운로드 시도해보다 둘다 포기해버렸고,
네이트온으로 친구한테 파일 전송하다가 화딱지나서 죽는 줄 알았다. 진정 인내심 필요로 한다.
결론은 서울에 산다면 선택은, 두 말 않고 속도나 가격 경쟁력에 있어 우위인 Wibro.
지방에 살고 있고 잦은 이동중에 인터넷이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라면 Hsdpa.
(그렇다고 해도 한달 29,900원은 심적인 장벽이 너무 크다.)
한 몇 달 써보니 정말 선 없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어 좋긴 한데,
아직까진 유선의 보조적인 수단인게 현실이고 그 수단으로써 과연 합리적인 비용인가를 따지지 않을 수 없다.
개인적으로도 통신비의 압박으로 둘 중 하나를 해지해야 하나.. 하는 고민이 드는데,
올해 결합 상품이 화두이니만큼 KT, SKT 진영 모두 '유선인터넷 + Wireless + 핸드셋'의 조합을 출시하고
각각 이용하는 것 보다 패키지 구매 시 가격적인 Merit을 주지 않을까. 하는 생각을 해본다.
ps. 참, 근데 하나로 유선 인터넷 써보신 분들 Megapass대비 어떠신가요?
반응형
'즐거운취미생활 > 생활, 잡동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팟 터치 - 구글 캘린더 연동하는 방법 (6) | 2009.05.21 |
---|---|
야호~! 아이팟이 내 손에! (10) | 2009.05.20 |
생각대로 T : 뫼비우스 폰트 Download (6) | 2009.04.27 |
[IT] 새해에 달라지는 것들 - 세금/방송통신/복지 (0) | 2009.01.13 |
Tworld.co.kr 개편 그리고 3년 6개월의 History (9) | 2008.11.18 |
Freeware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- Photo Filtre (0) | 2008.05.08 |
[컨퍼런스] 웹2.0 코리아 2008 (3/12~3/13) (3) | 2008.03.18 |
[T WORLD] T WORLD 개편 (8) | 2007.12.09 |
[컨퍼런스] Business Blog Summit 2007 다녀오다. (6) | 2007.05.27 |
T WORLD 메인 디자인 개편 (0) | 2007.05.10 |